티스토리 뷰

반응형

ICO에 참여하는 신청서를 보면 TXID, 또는 트랜젝션 ID를 입력하라는 말이 나옵니다.

TXID? 트랜젝션 ID가 뭐지? 하시는 분들, 찾으시는 분들 많으신데요.


TXID, Txhash 등으로 표현되는 트랜젝션 ID란 가상화폐에서 입출금내역을 담은 거래번호라고 보시면 되고 거래번호를 통해 코인을 거래하거나 이동시 위치추적을 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소 내 매매가 아니라 가상화폐 거래를 자주 하시는 분이라면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하는 개념입니다. 택배에서 운송장 조회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ICO를 참여할 때 이러한 TXID를 요청하는 경우는 이 거래번호를 통해서 코인이 잘 도착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상화폐 거래는 주로 ICO를 참여할 때 많이 진행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ICO에 참여하는 토큰은 대부분 이더리움 기반 토큰이기 때문에

이더스캔(https://etherscan.io/) 사이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사이트에서 우측 상단에 있는 검색창에 나의 지갑주소를 검색하면,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지갑 주소에 한 번 들어가 보겠습니다. 지갑주소에 들어가 하단 부에 있는 내역을 보면 약 5일 전쯤에 거래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 내역 중 왼쪽에 보면 Txhash 라는 항목이 있고 링크로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이 이제 거래번호라고 보시면 됩니다.

거래번호 하나를 선택해서 들어가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거래상태나 거래시간, 보낸주소/받은 주소, 보낸 수량 등 거래와 관련한 디테일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거래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면 언제 어디서 보내고 어떻게 가상화폐 거래가 진행되었는지 확인할 수가 있겠죠.


그렇기 때문에 코인이 도착하지 않았을 때, 불분명한 문제가 확인했을 때 상황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어떠신가요 꼭 필요한 정보 같으시죠?










빗썸이나 업비트와 같은 거래소에서도 TXID, 트랜젝션 I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입출금 내역이나 거래내역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는데요.

빗썸의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거래소에서 로그인 한 후 지갑관리 메뉴에서 거래내역에 들어가시면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거래 내역 중 우측에 완료 버튼을 누르면 TxID가 뜨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이것을 누르면 코인에 따라 코인의 거래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TxID, Txhash 에 대해서는 잊지 말고 꼭 알아두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