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걸음마] 암호화폐 트레이딩 차트분석 보조지표 MACD
암호화폐 트레이딩을 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 보조지표들을 활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보조지표도 한 두가지가 아니다보니, 처음에 입문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다소 난해하게 보일 수가 있습니다.
암호화폐 트레이딩을 할 때 많은 분들이 활용하고 있는 보조지표들을 하나하나 소개합니다. 이번 시간에 알려드릴 것은 MACD 입니다. 볼린저밴드와 더불어서 많은 분들이 애용하고 있는 지표인 듯 합니다.
MACD는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의 약자입니다.
기간이 다른 이동평균선 사이의 관계에서 추세 변화의 신호를 찾으려는 지표입니다.
추세전환 시점을 찾는 것보다는 추세방향과 추세 움직임을 분석하는데 좋은 지표입니다.
MACD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MACD 선
(2) Signal 선
(3) 양봉
(4) 음봉
(5) 기준선 (0선)
MACD 선
업비트에서 지표 중 MACD를 설정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FAST MA Period는 단기이동평균선, Slow MA Period는 장기이동평균선을 의미합니다. 12라고 적혀있는 것은 12일을 평균값을 낸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기본적으로 12, 26으로 적혀 있는 경우는 예전에는 주식시장에서 토요일에도 장이 열렸기 때문에 2주동안에는 12일, 한달 중에는 일요일 4번을 빼서 26일을 기준으로 삼았다고 합니다. 가상화폐 트레이딩 시장은 매일 24시간 돌아가는 시장이기 때문에 위의 숫자가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보조지표는 주식 매매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주식시장과 가상화폐 시장은 비슷한 것 같기도 하지만 확연히 다르기 때문에 처음에는 기본으로 맞추면서 보시다가, 본인의 매매방식에 맞게 조정해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지표들은 말 그대로 '보조지표'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맞다고 볼 수가 없습니다. 개인적인 판단에 의해 참고할 뿐입니다.
일반적인 MACD 매매원칙
MACD를 활용하여 일반적으로 말하는 매매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MACD 선이 0선을 상향돌파하면 매수하고 하향돌파하면 매도한다.
(2) MACD 선이 시그널선을 상향돌파(골든크로스)할 때 매수하고 하향돌파(데드크로스)할 때 매도한다.
(3) 오실레이터(양봉과 음봉)에서 0선 위에서 양봉으로 높아가다가 양봉이 줄어드는 순간을 가장 빠른 매도신호로 본다.
(4) 반대로 0선 밑에서 음봉으로 내려가다가 줄어들 때를 가장 빠른 매수신호로 본다.
그런데, 제가 이곳저곳에 대입해봐도, 아주 딱 맞는 느낌은 잘 모르겠습니다.
어디까지나 보조지표이고,
무엇보다 주식 시장과 가상화폐 시장은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하지만 분명 추세를 알 수 있는 좋은 지표임에는 분명하므로
내게 잘 맞게 설정해서 찾아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모두 성투하세요!